본문 바로가기
IT,SW,Data,Cloud,코딩/Python

2023년5월31일 파이썬공부 -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 파이썬 편 3장 3.1 넘파이 배열 - 내용 따라 치기

by 착실하게 2023. 5. 31.
반응형

https://datascienceschool.net/01%20python/03.01%20%EB%84%98%ED%8C%8C%EC%9D%B4%20%EB%B0%B0%EC%97%B4.html

 

3.1 넘파이 배열 — 데이터 사이언스 스쿨

.ipynb .pdf to have style consistency -->

datascienceschool.net

 

위 페이지 내용 공부한 내용 

 

#3.1 넘파이 배열

import numpy as np 
# ar = np.array([0,1,2,3,4,5,6,7])
# print(ar)
# print(type(ar))

# data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
# answer = []
# for di in data:
#     answer.append(2 * di)
# print('answer',answer)
# print('answer*2',answer*2)
# print(type(answer))

# x = np.array(data)
# print("2*x",2 * x)
# print(type(x))

a = np.array([1,2,3])
b = np.array([10,20,30])

# print(2*a+b)
# print(a==2) # 논리연산도 배열의 각 요소마다 수행됨
# print(b>10)
# print((a==2)&(b>10)) #둘다 True 일때 True


c = np.array([[0,1,2],[3,4,5]])
# 2개의 행과 3개의 열을 가지는 2 x 3 배열
# print(len(c)) #행의 갯수 #2
# print(len(c[0])) #열의 갯수 #3

d= np.array([[[1,2,3,4],[5,6,7,8],[9,10,11,12]],
            [[11,12,13,14],[15,16,17,18],[19,20,21,22]]])

#3차원 배열의 깊이, 행, 열 
# print(len(d)) #깊이 #2
# print(len(d[0])) #행 #3
# print(len(d[0][0])) #열#4 


#배열의 크기와 차원 알아내기 
# print(a.ndim) #1
# print(a.shape) #(3,)

# print(c.ndim) #2
# print(c.shape) #(2,3) #행,열

# print(d.ndim) #3 
# print(d.shape) #(2,3,4) #깊이,행,열

a=np.array([0,1,2,3,4])
# print(a[2])

a=np.array([[0,1,2],[3,4,5]])
# print(a) 
# print(a[0,0]) #0 
# print(a[0,1]) #1
# print(a[-1,-1]) #5

a = np.array([[0, 1, 2, 3],
              [4, 5, 6, 7]])
# print(a[0,:]) #첫번째 행 전체
# print(a[:,1]) #두번째 열 전체
# print(a[1,1:]) # 두번째 행의 두번째 열부터 끝열까지
# print(a[:1,:2]) # 첫번째 행, 두번째 열까지
# [(포함):(비포함)]


m = np.array([[ 0,  1,  2,  3,  4],
            [ 5,  6,  7,  8,  9],
            [10, 11, 12, 13, 14]])

# # 값7 인덱싱
# print(m[1,2])
# # 값14 인덱싱
# print(m[-1,-1])

# #배열[6,7] 슬라이싱
# print(m[1,1:3])
# #배열 [7,12] 슬라이싱
# print(m[1:3,2])
# #배열[[3,4],[8,9]] 슬라이싱
# print(m[0:2,-2:])

# 배열 인덱싱 # 팬시 인덱싱

a = np.array(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)
# print(a[a%2==0])

x = np.array(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,
             11, 12, 13, 14, 15, 16, 17, 18, 19, 20])

#3의 배수
print(x[x%3==0])
#4로 나누면 1이 남는 수
print(x[x%4==1])
#3으로 나누면 나누어지고 4로 나누면 1이 남는 수
print(x[(x%3==0)&(x%4==1)])
반응형

댓글